어떤 설정을 고치고 난 후 또는 어떤 프로그램을 새로 설치하고 난 후
그 글자가 알파벳이든 한글이든 글자가 깨지거나 겹쳐서 나온다면
일단 해당 프로그램이나 , 더 넓게는 자신이 설치한 GUI DeskTop Environment( KDE, Gnome, Xfce 등등)의
자신이 설치한 Linux 의 "프로그램 설치 관리자' 를 열고
해당 Locale 을 찾아서 지워본다.
Locale은 패키지 이름에 "10n" 이라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쉽게 알아 볼 수 있다.
*** Chromium 에서 일본어식 한자어중 일부가 표현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이리저리 해보던 중
Linux 의 기본 언어 설정을 영어로 하면 Chromium의 Locale이 영어로 설정되고
일본어식 한자도 깨지지않고 나타나는데,
Linux 의 기본 언어 설정을 한국어로 하면 Chromium의 Locale도 한국어로 설정되어
Chromium의 메뉴나 설정 부분들이 한국어로 표시지만, 표현되지 않는 일본어식 한자가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.
결국 Chromium의 Locale이 영어로 설정되었을 때와 한국어로 설정되었을 때
일본어식 한자에 대한 글꼴 설정이 다른 것 같다는 결론을 내리고
Linux 에 대한 지식이 없는 나로써는
Chromium 의 Locale File 을 수정할 능력은 안되므로
Chromium 의 Locale File "chromium-browser-|10n"을 지우는 것만이 최선의 선택이었다.
'Linux 일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refox 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잠금을 해제 하려면... (0) | 2014.10.09 |
---|---|
Firefox 에서 "Enable JavaScript" 항목을 설정하려면... (0) | 2014.10.09 |
동영상 편집/변환 프로그램 Video Editor and/or Transcoder Software (0) | 2014.10.09 |
EUC-KR <-> UTF-8 변환 (0) | 2014.10.09 |
자막 파일 형식 smi <-> srt 변환 방법 (0) | 2014.10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