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-LINK " DIR-868L " 유/무선 공유기
((( 2022년 02월 08일 현재,
((( 아무 이상없이 잘 사용중이다.
(((
((( D-Link Korea 홈페이지 자료실
((( http://www.mydlink.co.kr/2013/beta_board/product_detail.php?no=174&model=DIR-868L
((( 에
((( 2020년 08월 27일자로 올라온
((( v2.00KR - K13
((( 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도 완료하였다.
< 사양 >
: Brodcom BCM4708X ( Coretex A9, Dual Core, 800 MHz)
: Flash - 128 MB
RAM - DDR3 256 MB
: 5GHz 대역(=Band)에서는 최고 속도 1300Mbps(=1.3Gbps)
2.4GHz 대역(=Band)에서는 최고속도 450Mbps
= Dual-band Wireless-AC 1750 이라고 표현한다.
: USB 3.0 Port 1개
LG U+ 에서 제공하는 [ CAPL-6000(AP라우터), 한빛전자 제조 ] 에 연결하여 사용중이다.
왜?
인터넷 선 --- [ DIR-868L ] ---> [ CAPL-6000(AP라우터), 한빛전자 제조 ] 의 순서가 아닌가? 에 대한
대답은 아래 00.번을 보면 알 수 있다.
그런데
D-LINK 공유기 첫 연결시 나오는 공유기 설치 마법사에서
2단계: 인터넷 연결 구성 -"라우터는 인터넷 연결 유형을 감지하고있는 것입니다..." 과정에서
더 이상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않았다.
전화로 D-LINK에 문의하였더니
다른 유/무선 공유기를 거치면서 두 공유기 사에에 IP주소 충돌문제가 생겨서 그렇다고 하면서
"DIR-868L" 제품의 기본 주소를 바꾸면 해결된다고 알려준다.
이렇게 바꾸었다.
우선 DIR-868L 공유기 LAN Port 와 PC LAN Port를 연결한 후
PC에서 Internet Explorer 같은 Web Browser를 열고
Web Browser 주소 입력란에 192.168.0.1 을 입력한다.
"DIR-868L" 제품 설정 화면이 나오면
- 만약 설정 화면이 안나오면 인터넷선을 "DIR-868L" 제품 WAN(=INTERNET) Port에서 빼두고 다시 시도한다.
오른쪽에서 '설정 STEUP' 탭 을 선택하고 왼쪽에서 '내부 네트워크 설정 NETWORK SETTINGS'을 선택한다.
** 만약 비밀번호 입력 화면이 나오면 비밀번호 입력 없이 바로 확인을 눌러준다.
공유기 IP주소 Router IP Address 설정 부분을 보면
DIR-868L의 공유기 IP 주소가 192.168.0.1 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.
이것을 바꾸어주면 되는데
숫자 1 부분을 2 ~ 255 사이값으로 바꾸면 된다.
예를 들면 192.168. 0.100 이렇게 바꾸어주면 된다.
그리고 맨 위/아래에 있는 [설정저장 Save Settings] 버튼을 누른다.
'공유기 재시작...' 화면이 나오고 대기시간 Waiting time 이 CountDown 된다.
CountDown 이 끝나면
- 만약 인터넷선을 "DIR-868L" 제품 WAN(=INTERNET) Port에서 빼두었었다면 다시 연결한다.
새로 설정한 공유기 주소 192.168.0.100 을 입력하고
"DIR-868L" 제품 설정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한다.
아울러 다음 등의 포털 사이트에 접속을 시도해서 인터넷 연결이 잘되는지도 확인한다.
*** ipTime 공유기에도 내부 IP 설정 부분이 있는데
항목 이름이 같다고 해서 그 기능까지 같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
아뭏튼
기본 주소인 192.168.0.1 그대로 두어도 상관없었다.
인터넷 연결이 잘 되었다면 공유기의 기본주소를 192.168.0.1 로 다시 바꾸어도 된다.
아니 바로 바꾸는 것이 더 낫다.
*** 바꾼 주소를 적어두지 않았다가 공유기 접속 IP 를 잊어버려서
결국 Reset 버튼을 눌러서 초기화를 하였는데
이번에는 공유기 설치 마법사 과정에서 막힘없이 넘어가고
인터넷 연결도 잘 되었다.
그리고 192.168.0.1 로 접속해서 설정 화면에도 들어가졌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다른 공유기에서 나온 LAN 선을 INTERNET 이러고 적혀있는 WAN Port 에 연결하고,
PC 는 LAN Port 1에 그리고 "tv G" 셋톱박스는 LAN Port 4에 연결한 후
인터넷 연결이 잘 되었는지 확인해 보았다.
PC에서 Web Surfing 도 잘 되고, "LG U+ tv G(Google)" 셋톱박스를 이용한 실시간 방송 및 VOD 도 잘 나온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00. LAN Port 4번이 IPTV 전용 Port 로 기본적으로 정해져있지만 설정에서 바꿀 수 있다.
공유기 펌웨어 v1.07kr 설정에서
고급(Advanced) 탭 - 네트워크 고급설정(Advanced Network) 에 보면
맨 아래에 IPTV Port 설정이 있는데 Port4 가 기본값(default)으로 설정되어 있다.
IPTV PORT SETTING
IPTV : ○ unused ○ PORT1 ○ PORT2 ○ PORT3 ● PORT4
설정값은 바꿀 수 있다.
설정값을 바꾸었다면 [설정저장 Save Settings] 버튼을 누르는 것을 잊지 않는다.
그리고 바로 위에는 아래와 같은 두가지 항목이 있는데
IPV6 MULTICAST STREAMS
Enable IPv6 Multicast Streams : 체크 (Default 기본값)
IPV4 MULTICAST STREAMS
Enable IPv4 Multicast Streams : 체크 해제 (Default 기본값)
LG U+ tv G (Google) 셋톱박스 외에 LG U+ IPTV (고급형) 셋톱박스가 하나 더 있어서
IPV4 MULTICAST STREAMS 에 체크하고
Port 1~3 중 하나에 LG U+ IPTV(고급형) 셋톱박스를 연결하였다.
실시간 방송 및 VOD 를 잘 볼 수 있다.
단, 설정된 IPTV 전용 Port 에 연결했을 때와는 다르게
채널 변경시 '약간의 지연, 신호 없음, 신호 미약 또는 신호 수신중' 이 나올 확율이 더 높았다.
01. Adapter 전선의 길이가 좀 짧아 보여서 길이를 재어보았더니 120cm 정도이다. 역시 좀 짧다.
콘센트에 꼿는 부분은 아이폰이나 아이패드 Adapter 처럼 Adapter 본체와 분리 가능하다.
그리고
포장박스에는 12V 2A 를 사용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는데
제품의 전원 연결부 옆에는 12V 2.5A 라고 인쇄되어 있고, Adapter 에도 역시 12V 2.5A 라고 되어 있다.
02. 가장 뜨거운 부분이 윗 부분이다.
원통형이고 발열 구멍은 바닥과 윗부분에 뚫려있는데
바닥은 그다지 뜨겁지 않다.
역시 열에 데워진 공기는 가벼워서 위쪽으로 올라기기 때문인가보다.
< 윗면 >
03. 안테나가 없어서 깔끔해 보여서 좋다.
성격탓인지는 몰라도 안테나가 있는 제품은
아무리 안테나 간격이 일정하도록 벌려서 정렬해도
안테나때문에 좀 어수선해보이고 또한 눈에 좀 거슬리기 때문이다.
04. 전원 LED(노란색) 와 그 바로 아래에 인터넷 연결 상태 LED(노란색)가 있는데
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깜박이지 않아서 좋다. 그리고 파란색이 아니라서 더 좋다.
- 대체로 다른 공유기들에 있는 LAN Port 별 LED 는 없다.
< 사진상으로는 녹색처럼 보이지만 실제는 노란색이다. >
05. 공장 초기화 Factory Reset 를 위한 리셋(Reset) 버튼은 바닥에 있다.
06. 납작한 Flat형 LAN Cable을 주는데 길이가 100cm 정도이다.
그리고
CAT. 5E 라고 인쇄되어 있다.
- LAN Cable에는 UTP 도 있고 STP 도 있는데
STP 는 피복이 여러겹이라서 케이블이 두꺼워야 하는데
제공된 LAN선은 납작하면서 앏은 케이블이므로 UTP 케이블의 일종으로 생각된다.
UTP Cable Catagory 중에서
CAT.5 나 CAT.5E 는 100BASE-TX 와 1000BASE-T 를 지원한다고 한다.
CAT.6 은 1000BASE-T 를 지원하고,
CAT.6A, 7, 7A, 8은 10GBASE-T 를 지원한다고 한다.
07. 리피터 모드 Wireless Repeater Extender
인터넷 선 ---유선 연결---> [ 유/무선 공유기 1 ] <<<<<< 무선 >>>>>> [ 유/무선 공유기 2 ] ---유선 연결---> PC 등
---무선 연결---> 스마트폰,
---> 노트북,
---> 태블릿 등
위와 같이 연결하고 [ 공유기 2 ] 에서 리피터 모드로 설정하면
[ 공유기 1 ] 에서 나오는 인터넷 무선 신호를 [ 공유기 2] 가 그대로 받아서
[ 공유기 2 ] 와 유/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종 기기들에 인터넷 신호를 그대로 전달해주는 것이다.
이렇게 하는 이유는
[ 공유기 1 ] 의 무선 신호를 보다 더 먼 거리에서 사용할 수 있게 릴레이 Relay해서 [ 공유기 1 ] 무선 신호를 확장하고,
또한 [ 공유기 1 ] 의 설정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,
외관상 선이 지나가면 지저분해보이는 등의 인테리어 목적때문에
두 공유기 사이에 유선 연결을 할 수 없는 사정 등 이라고 하겠다.
08. 간이 NAS, My Cloud Service 또는 My Streaming Service
* 이 기능을 무엇이라고 말해야 정확할지는 모르겠다.
* WD My Passport Ultra _ Metal Edition 을 사고나서
아래와 같이 시도해보았는데 잘 된다.
USB 메모리도 여러개가 있는데 왜 그동안 시도해볼 생각을 안했는지 모르겠다.
가. 외장 하드디스크를 USB 케이블로 DIR-868L 에 있는 USB Port 에 연결하거나
USB 메모리를 DIR-868L에 있는 USB Port 에 꼿는다.
* D-LINK DIR-868L USB Port는 USB 3.0을 지원한다.
* D-LINK DIR-868L 과 연결되는 저장장치는
FAT, FAT32 또는 NTFS 로 Format되어 있는 Partition만 인식되고,
exFAT 로 Format되어 있는 Partition은 인식하지 못했다.
ext4, ext3 등 리눅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은 어떨지 모르겠다.
나. Android OS 를 사용하는 휴대전화나 Tablet 에서
Google Paly Store 를 열고
"SharePort Mobile" 또는 "mydlink SharePort"를 검색해서 설치한다.
다. 방금 설치한 "D-Link SharePort Mobile" 또는 "mydlink SharePort"를
Android OS 를 사용하는 휴대전화나 Tablet 에서 실행하고
DIR-868L 에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(Administrator)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접속한다.
라. "D-Link SharePort Mobile" 또는 "mydlink SharePort"는
사진 -> 동영상 -> 음악 ->폴더 -> 즐겨찾기 ->파일 순으로
페이지가 나누어져 있는데
'폴더' 페이지에서 폴더 아이콘을 터치하면
연결되어 있는 저장장치를 보여준다.
터치한다.
원하는 폴더로 이동하여
음악을 듣고, 동영상을 보는 등 원하는 작업을 하면 된다.
*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보는 등의 작업에는
휴대전화 또는 Tablet 에 설치되어 있는 해당 앱을 이용하게 된다.
09. 휴대전화나Tablet 충전 기능.
DIR-868L 에 있는 USB Port 에
휴대전화나Tablet 을 연결하면
휴대전화나 tablet 을 충전할 수도 있다.
10. 프린터를 USB 케이블로 DIR-868L 과 연결 가능하다면
디링크 홈페이지에서
"ShareportPlus Utility"를 내려받아
노트북이나 PC등에 설치하면 무선으로 프린터 이용이 가능하고
또한 여러 노트북이나 PC에서 동시에 프린터를 이용가능하다고 한다.
* 동시에 이용가능하다고 하지만
프린트는 어차피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하게된다.
'PC 및 노트북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BlueTooth USB Dongle - CSR Chipset + CSR Harmoney (0) | 2014.10.09 |
---|---|
BlueTooth USB Dongle - CSR Chipset + IVT BlueSoleil (0) | 2014.10.09 |
Jumbo Frame 또는 점보 패킷 지원 ? (0) | 2014.10.09 |
Power Supply " FSP600-50HPN 85+ " (0) | 2014.10.09 |
Power Supply " 3R SYSTEM AK 600 II " (0) | 2014.10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