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* 무선 키보드, 무선 마우스, 무선랜카드 그리고 블루투스 동글로 스피커와 연결하여
현재 PC에 연결된 선은 전원 케이블과 외장 HDD 케이블뿐이다.
netis WF2190 무선 랜카드
< 구성품 >
- 무선 랜카드 본체
: Realtek 8812AU Wireless LAN NIC
: 2.4GHz/5GHz Dual Band, 802.11ac지원 - 최대속도 867Mbps
: USB 3.0
- 분리형 안테나 2개
: 아래 사진에서는 기역자로 꺽여있지만 일자로 펴진다. 각도 조절도 된다. 회전도 된다 .
- USB 3.0 연장 크레이들 (1.8 M)
: 거치대 형태의 연장 케이블이다. 따라서 USB Port 에 꼿아서 사용하는 다른 기기를 연결해서 사용해도 된다.
- 퀵가이드(사용설명서)
- 드라이버 설치 CD
현재 사용중인 PC 메인보드가 USB 3.0 은 Etron Chipset에서 따로 관리를 해서 Etron Driver를 설치해야만 한다.
그래서 혹시 호환성 문제가 생기면 어쩌나 걱정했는데
Windows OS가 USB 3.0 포트에 꼿힌 본 제품을 잘 인식해서 다행이다.
현재 5GHz WiFi 신호를 수신하도록 수동으로 설정해두었다.
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품질측정 페이지에서 인터넷 속도를 측정했을 때
유선 랜카드 인터넷 속도와 차이는 없었다.
끊김 현상이 나타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.
< 안테나는 꼭 필요할까? >
블루투스 동글처럼 생긴 아주 작은 2.4GHz Single Band 무선 랜카드도 가지고 있는데
안테나도 없지만 수신이 잘되었고
무엇보다도
유/무선 공유기와 이 제품과의 거리가 29cm 정도여서 안테나를 두개다 제거해보았다.
현재 5GHz WiFi 신호를 수신하도록 수동으로 설정해두었다.
한국정보화진흥원 인터넷 품질측정 페이지에서 인터넷 속도를 측정했을 때
유선 랜카드 인터넷 속도와 차이는 없었다.
결국 유/무선 공유기와 거리를 고려해서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수신 감도를 감안해서 안테나를 결합하면 되겠다.
** 안테나 제거 후 좋은 점은 이웃집 WiFi 신호가 잡히지 않는다는 것이다.
< 무선 랜카드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무선 공유기(AP) 역할도 할 수 있다. >
** 나의 경우 PC 전원이 완전히 꺼진 상태에서 부팅하면
두 기능 모두 연결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. -리부팅 해주면 제대로 연결되기는 한다. -
그래서 두 기능이 동시에 작동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에 만족하고 무선 공유기 역할은 해제하였다.
** 아울러 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프로그램이 Windows OS 의 종료와 리부팅을 방해하기도 한다.
2013년 이후 업데이트가 한번도 없었던 것 같은데 반드시 업데이트되어야 할 프로그램이다.
netis WF2190 Wireless LAN Driver 를 설치할 때 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가 설치되었을 것이다.
이 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를 열고
창 맨 아래에 있는 ' Virtual WiFi allowed ' 에 체크하면 Virtual WiFi 탭이 생긴다.
Virtual WiFi 탭에서 [ 구성 ] 버튼을 눌러서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.
네트워크 이름(SSID) :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면 된다.
채널 : 원하는 2.4GHz 대역(=band) 또는 5GHz 대역 채널
네트워크 인증 : 대체로 WPA2-PSK 를 선택하면 될 것이다.
데이터 암호화 : 대체로 AES 를 선택하면 될 것이다.
네트워크 키 : 원하는 암호를 8자리 이상으로 입력하면 된다.
[ 확인(O) ] 버튼을 누른다.
' 인터넷 연결 공유(ICS) 설정 '에 체크하고
Shared network: Realtek 8812AU Wireless LAN 802.11ac USB NIC 를 선택한다.
** 아무것도 안보이면 [ 새로 고침 ] 버튼을 누르거나, 프로그램을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해 본다.
그래도 안보이면 PC를 다시 부팅해 본다.
[ 적용 ] 버튼을 누른다.
[ 닫기 ] 를 눌러서 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프로그램 창을 닫는다.
스마트폰, 태블릿 또는 노트북 등에서 WiFi 검색을 해서 위해서 설정한 네트워크 이름(SSID)를 선택하고,
역시 위에서 설정한 네트워크 키 값을 입력해서 연결해 본다.
이제 이 제품이 꼿혀있는 PC/노트북으로도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고,
이 제품과 WiFi 로 연결된 스마트폰, 태블릿 또는 노트북 등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.
* 위와 같이 설정하고 태블릿으로 아프리카TV에서 롤 방송을 보면서 이 제품이 꼿혀있는 PC로 이 글을 작성하였다.
< 무선 랜카드 기능은 죽이고 무선 공유기(AP)로만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. >
이 제품이 꼿혀있는 PC 나 노트북은 인터넷 연결을 유선으로 한다.
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프로그램을 열고
상단 메뉴에서 모드(M) - 엑세스 지점(= Access Point = AP)을 선택하면 된다.
설정 방법은
Shared network: 부분에서 유선 LAN Card 를 선택한다는 점 외에는 위와 같다.
< Driver 만 설치해 보자 >
** 위에서 한번 말하였지만
아무래도 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프로그램이 Windows OS 의 종료나 리부팅을 방해하고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.
2013년 이후 업데이트가 한번도 없었던 것 같은데 반드시 업데이트되어야 할 프로그램으로 생각된다.
netis USB Wireless LAN Utility 프로그램을 제거하면 Driver 파일도 같이 지워진다.
그래서 아래와 같이 Driver만 다시 설치해 주었다.
1. 시작 - 제어판 - 장치 관리자 - 기타 장치 - 노란 바탕에 느낌표가 붙어있는 802.11n NIC
*** Windows 7 에서 제어판 보기 기준: 작은 아이콘일 때.
마우스 화살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속성(R)을 선택한다.
* 시작 - 제어판 - 장치 및 프린터 에서 '지정되지 않음' 부분에
*** Windows 7 에서 제어판 보기 기준: 작은 아이콘일 때.
"노란 바탕 삼각형에 느낌표가 붙어 있는 802.11n NIC" 가 나타나 있을 것이다.
마우스 화살표를 대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서 속성(R)을 선택한다.
하드웨어 탭에서 [ 속성(R) ] 버튼을 눌러서 접근해도 된다.
2. 일반 탭 이나 드라이버 탭에서 [ 드라이버 업데이트(U)... ] 를 선택한다.
3. " 컴퓨터에서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찾아보기(R) "를 선택한다.
[ 찾아보기(R)... ] 버튼을 누르고
설치CD 또는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은 드라이버 파일이 있는 폴더[디렉토리]까지 찾아간다.
* Driver -> Windows -> RTWLANU_Driver -> 사용중인 Windows OS 폴더[디렉토리]까지 선택하면 된다.
[ 다음(N) ] 버튼을 누른다.
4. 설치가 완료되면
기타 장치는 사라지고,
장치 관리자 - 네트워크 어댑터 부분에 " Realtek 8812AU Wireless LAN 802.11ac USB NIC " 가 나타난다.
5. 화면 맨 아래에 있는 작업 표시줄 오른쪽에 모양의 아이콘이 나타난다.
이 아이콘을 클릭하고
WiFi 접속을 원하는 유/무선 공유기의 네트워크 이름(SSID)을 클릭한다.
자동으로 연결에 체크 또는 체크 해제하고 [ 연결(C) ]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유/무선 공유기 접속 보안 키(비밀번호)를 묻는다.
** "자동으로 연결" 에 체크하면 비밀번호가 기억되고 PC를 리부팅했을 때 자동으로 연결되지만,
해제하면 PC/노트북을 켤 때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직접 연결해야 한다.
보안 키(비밀번호)를 입력하고 [ 확인 ] 버튼을 누르면 잠시 후 유/무선 공유기와 WiFi 로 연결된다.
* PC 또는 노트북을 리부팅해주면 더 좋겠다.
6. 이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.
'PC 및 노트북 관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J45잭 과 UTP 케이블 (0) | 2014.11.18 |
---|---|
삼성 SE-208GB 외장형 DVD/CD Writer (0) | 2014.11.18 |
WeVO Air CUBE Black 무선공유기(AP) (0) | 2014.11.11 |
USB Memory 용량이 64GB 이상일 경우 포맷하기 (0) | 2014.10.09 |
SSD, 페이징 파일 용량 줄이기 (0) | 2014.10.09 |